낙관적 업데이트란?
2025-04-16 TIL-낙관적 업데이트란?
낙관적 업데이트란?
낙관적 업데이트(Optimistic Update)는 요청이 성공할 것이라고 가정하고, 서버 응답을 받기 전에 UI를 먼저 업데이트하는 방식이다. 사용자의 요청이 서버에서 문제없이 처리될 것이라 예상하고, 즉시 화면에 반영함으로써 빠른 피드백을 제공하는 것이 핵심이다.
낙관적 업데이트의 대표적인 예는 좋아요 기능이다. 사용자가 좋아요 버튼을 클릭했을 때, 서버 응답을 기다리지 않고 곧바로 화면에 좋아요가 반영된다. 이후 서버에서 성공 응답이 오면 그대로 유지하고, 실패할 경우에는 해당 변경을 되돌리거나 오류 메시지를 표시한다.
이 방식은 특히 느린 네트워크 환경이나 서버 응답 지연 상황에서도 사용자에게 끊김 없는 경험을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사용자는 마치 모든 작업이 실시간으로 처리되고 있는 것처럼 느낄 수 있다.
하지만 서버에서 요청이 실패할 경우, 일시적으로 잘못된 정보가 사용자에게 노출될 수 있다. 따라서 이를 대비한 롤백 처리나 에러 메시지 출력 등 예외 상황에 대한 대응이 함께 설계되어야 한다.
낙관적 업데이트는 언제 사용하는 게 좋을까?
낙관적 업데이트는 다음과 같은 조건에서 특히 유용하다:
-
요청의 성공 확률이 매우 높을 때
-
사용자 경험을 빠르게 개선할 수 있을 때
-
서버와 비동기 처리에 대한 신뢰가 있는 경우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기능에서 자주 사용된다:
-
좋아요 / 북마크 / 팔로우 버튼
-
장바구니 담기
-
댓글 쓰기
-
간단한 투표 기능 등
반면, 모든 상황에 낙관적 업데이트를 적용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 적용이 어려운 사례
-
결제, 송금, 거래 내역 등 민감한 데이터
-
실패 시 사용자에게 큰 혼란이나 피해를 줄 수 있는 기능
-
불안정한 네트워크 환경에서 요청 실패 가능성이 높은 상황
이런 경우에는 낙관적 업데이트가 오히려 사용자 경험을 해칠 수 있으며, 서버 응답을 받은 후에 반영하는 방식이 더 안전할 수 있다.
요약
항목 | 내용 |
---|---|
정의 | 서버 응답 전에 UI를 먼저 업데이트하는 방식 |
장점 | 빠른 피드백, 부드러운 UX |
단점 | 요청 실패 시 롤백 필요, 일시적 정보 불일치 가능성 |
적합한 상황 | 요청 성공 확률이 높고, 즉각적 피드백이 중요한 경우 |
주의할 점 | 민감하거나 중요한 데이터에는 신중하게 사용해야 함 |